Translations by Kyewon Kim

Kyewon Kim has submitted the following strings to this translation. Contributions are visually coded: currently used translations, unreviewed suggestions, rejected suggestions.

150 of 59 results
12.
name={\acronym{GNOME}}, description={\acronym{GNOME} is a popular desktop environment and was former the default desktop environment used in Ubuntu.}
2014-08-24
name={\acronym{GNOME}}, description={\acronym{GNOME} 은 잘 알려진 데스크탑 환경이며 우분투에서는 초기 데스트탑 환경으로 채택되어 왔습니다.}
13.
name={\acronym{GUI}}, description={The \acronym{GUI} (which stands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is a type of user interface that allows humans to interact with the computer using graphics and images rather than just text.}
2014-08-24
name={\acronym{GUI}}, description={The \acronym{GUI} (그래픽 기능을 활용한 사용자 중심 인터페이스) 는 인간이 컴퓨터와 텍스트가 아닌 그래픽이나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태입니다.}
14.
name={\acronym{ISP}}, description={\acronym{ISP} stands for \emph{Internet Service Provider}, an \acronym{ISP} is a company that provides you with your Internet connection.}
2014-08-24
name={\acronym{ISP}}, description={\acronym{ISP} stands for \emph{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an \acronym{ISP} 는 당신에게 인터넷 연결을을 제공해주는 회사입니다.}
15.
name={kernel}, description={A kernel is the central portion of a Unix-based operating system, responsible for running applications, processes, and providing security for the core components.}
2014-08-24
name={커널}, description={커널은 유닉스 기반의 운영체제 시스템에서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의 실행 그리고 핵심 구성요소를의 보안을 제공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6.
name={Live \acronym{DVD}}, description={A Live \acronym{DVD} allows you to try out an operating system before you actually install it, this is useful for testing your hardware, diagnosing problems and recovering your system.}
2014-08-24
name={Live \acronym{DVD}}, description={A Live \acronym{DVD} 는 당신이 운영체제를 실제로 설치를 하기 전에 시험적으로 사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것은 당신의 하드웨어를 테스트하거나, 초기 문제를 진단해보거나 시스템을 복구하는데 유용합니다, .}
17.
name={\acronym{LTS}}, description={\acronym{LTS} stands for long-term support and is a type of Ubuntu release that is officially supported for far longer than the standard releases.}
2014-08-24
name={\acronym{LTS}}, description={\acronym{LTS} 는 오랜 기간동안 지원할 것을 의미하고 보통의 릴리즈보다 훨씬 오래 공식적으로 지원되어지는 우분투 릴리즈 타입입니다.}
18.
name={maximize}, description={When you maximize an application in Ubuntu it will fill the whole desktop, excluding the panels.}
2014-08-24
name={최대화}, description={당신이 우분투에서 응용프로그램을 최대화하면, 패널을 제외하고 전체 화면에 가득찰 것입니다.}
19.
name={minimize}, description={When you minimize an open application, the window will no longer be shown. If you click on a minimized application's icon in the Launcher, it will be restored to its normal state and allow you to interact with it.}
2014-08-24
name={최소화}, description={당신이 열려진 응용프로그램을 최소화하면 해당 창은 더이상 보여지지 않습니다. 만약에 런처에서 최소화된 응용프로그램 아이콘을 클릭하면, 원래 상태로 다시 복구되며 다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해집니다. }
20.
name={notification area}, description={The notification area is an applet on the panel that provides you with all sorts of information such as volume control, the current song playing in Rhythmbox, your Internet connection status and email status.}
2014-08-24
name={알림 영역}, description={알림 영역은 볼륨 조절, 리듬박스에서 현재 나오는 노래, 인터넷 연결상태 그리고 이메일 상태와 같이 모든 종류의 상태를 알려주는 패널상의 에플릿입니다.}
21.
name={output}, description={The output of a command is any text it displays on the next line after typing a command and pressing enter, \eg, if you type \commandlineapp{pwd} into a terminal and press \keystroke{Enter}, the directory name it displays on the next line is the output.}
2014-08-29
name={출력}, description={명령어의 출력은 명령어를 타이핑하고 엔터를 치면 다음 라인에 출력되는 어떠한 텍스트이다, \eg, 다음을 \commandlineapp{pwd} 터미널에 타이핑하고 \keystroke{Enter} 누르면 , 다음 라인에 출력되는 폴더 이름들이 출력이다.}
23.
name={panel}, description={A panel is a bar that sits on the edge of your screen. It contains \glspl{applet} which provide useful functions such as running programs, viewing the time, or accessing the main menu.}
2014-08-29
name={패널}, description={패널은 화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막대형태이다. 패널은 \glspl{applet}을 포함하는데 프로그램 실행, 시간 보기, 메인 메뉴 접근과 같이 매우 유용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24.
name={parameter}, description={Parameters are special options that you can use with other commands in the terminal to make that command behave differently, this can make a lot of commands far more useful.}
2014-08-29
name={파라메터}, description={파라메터들은 특별한 옵션들이다. 당신은 터미널에서 일부 명령어를 다른 동작을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매우 유용한 많은 명령어들을 가능하게 한다 .}
25.
name={partition}, description={A partition is an area of allocated space on a hard drive where you can put data.}
2014-08-29
name={파티션}, description={파티션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할당된 공간의 영역이다.}
26.
name={partitioning}, description={Partitioning is the process of creating a \gls{partition}.}
2014-08-29
name={파티셔닝}, description={파티셔닝은 \gls{partition}을 만드는 단계이다.}
27.
name={\acronym{PPA}}, description={A personal package archive (\acronym{PPA}) is a custom software repository that typically contains either packages that aren't available in the primary Ubuntu repositories or newer versions of packages that are available in the primary repositories.}, plural={\acronym{PPA}s}
2014-08-29
name={\acronym{PPA}}, description={ 개별적인 패키지 자료인 (\acronym{PPA}) 는 일반적으로 기본 우분투 저장소에서 사용 가능하지 않거나 저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신규 버전의 패키지들을 포함한다.}, plural={\acronym{PPA}s}
28.
name={prompt}, description={The prompt displays some useful information about your computer. It can be customized to display in different colors, display the time, date, and current directory or almost anything else you like.}
2014-08-29
name={프롬프트}, description={프롬프트는 컴퓨터의 유용한 정보들을 표시한다. 표시되는 색깔이나, 시간, 현재 디렉토리 혹은 당신이 원하는 어떠한 형태로도 만들 수 있다 .}
29.
name={proprietary}, description={Software made by companies that don't release their source code under an open source license.}
2014-08-29
name={프로퍼티}, description={오프소스 라이센스하에 소스코드는 배포하지 않는 회사로부터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30.
name={router}, description={A router is a specially designed computer that, using its software and hardware, routes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to a network. It is also sometimes called a gateway.}
2014-08-29
name={라우터}, description={라우터는 인터넷에서 네트워크까지 경로 정보를 위한 소프트웨어 그리고 하드웨어를 포함한 특별하게 만들어진 컴퓨터의 일종이다. 때론 게이트웨이라고 불리어진다.}
31.
name={server}, description={A server is a computer that runs a specialized operating system and provides services to computers that connect to it and make a request.}
2014-08-29
name={서버}, description={서버는 특별한 운영 체제를 구동시키는 컴퓨터이며, 접속이나 요청을 처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32.
name={shell}, description={The \gls{terminal} gives access to the shell, when you type a command into the terminal and press enter the shell takes that command and performs the relevant action.}
2014-08-29
name={셀}, description={\gls{터미널} 은 셀 접근을 제공하고, 당신이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커맨드는 해당 명령어를 수행합니다.}
35.
name={terminal}, description={The terminal is Ubuntu's text-based interface. It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ng system using only commands entered via the keyboard as opposed to using a \gls{GUI} like Unity.}
2014-08-29
name={터미널}, description={터미널은 우분투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입니다. 유니티와 같은 \gls{GUI} 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키보드로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여 운영체제를 제어하는 방법입니다.}
36.
name={\acronym{USB}}, description={Universal Serial Bus is a standard interface specification for connecting peripheral hardware devices to computers. \acronym{USB} devices range from external hard drives to scanners and printers.}
2014-08-29
name={\acronym{USB}}, description={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acronym{USB} 는 컴퓨터의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 표준화된 규약의 하나입니다. 외장 하드드라이브 부터 스내너 프린터까의 장비들간의 연결 인터페이스입니다.}
37.
name={wired connection}, description={A wired connection is when your computer is physically connected to a \gls{router} or \gls{Ethernet port} with a cable. This is the most common method of connecting to the Internet and local network for desktop computers.}
2014-08-29
name={유선 연결}, description={당신이 물리적으로 케이블로 \gls{라우터} 나 \gls{이너넷 포트}를 연결 할때가 유선 연결입니다 . 대부분의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인터넷 혹은 로컬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38.
name={wireless connection}, description={A network connection that uses a wireless signal to communicate with either a \gls{router}, access point, or computer.}
2014-08-29
name={무선 연결}, description={\gls{라우터}, 엑세스 포인트 혹은 컴퓨터간 연결을 위해 무선 신호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연결입니다.}
41.
Revision number
2014-08-29
개정 번호
42.
Revision date
2014-08-29
개정 일자
46.
Title page
2014-08-29
제목 페이지
47.
Ubuntu Manual Project
2014-08-29
우분투 메뉴얼 프로젝트
48.
\plaintitle is a comprehensive beginner's guide designed for the Ubuntu operating system. It is written under an open source license and is free for you to download, read, modify, and share. This manual will help you become familiar with everyday tasks such as surfing the web, listening to music, and scanning documents. With an emphasis on easy-to-follow instructions, it is suitable for all levels of experience.
2014-08-29
\plaintitle 는 우분투 운영체제를 시작하는 사람들을 포괄합니다. 오픈소스 라이센스하에 자유롭게 다운로드, 읽기, 수정, 공유가 가능합니다. 이 메뉴얼은 당신이 매일 인터넷을 돌아다니거나 음악을 듣거나 문서를 스캔하는 것이 익숙하는데 도움을 줄것입니다. 쉽게 따라하는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경험했던 모든 수준에 적합합니다.
52.
This work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3.0 License. To view a copy of this license, see \hyperref[ch:license]{\appendixname}~\ref{ch:license}, visit \url{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 or send a letter to Creative Commons, 171 Second Street, Suite 300, San Francisco, California, 94105, USA.
2014-08-30
이 작업의 다음의 라이센스를 따릅니다.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3.0 License. 이 라이센스의 복사본을 보기 위해서는, \hyperref[ch:license]{\appendixname}~\ref{ch:license} 을 보거나, \url{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3.0/} 방문하세요, 혹은 다음의 주소로 편지를 보내셔도 됩니다. Creative Commons, 171 Second Street, Suite 300, San Francisco, California, 94105, USA.
53.
\textit{\plaintitle} can be downloaded for free from \url{http://ubuntu-manual.org/} or purchased from \url{\printurl}. A printed copy of this book can be ordered for the price of printing and delivery. We permit and even encourage you to distribute a copy of this book to colleagues, friends, family, and anyone else who might be interested.
2014-08-30
\textit{\텍스트본} 다음의 주소에서 \url{http://ubuntu-manual.org/} 자유롭게 다운로드 가능하며 프린트본을 다음에서 \url{\printurl}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의 프린트 카피본은 프린트비와 배송비의 가격으로 주문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당신이 이책의 복사본을 동료, 친구, 가족 그리고 관심있어 하는 누구에게라도 나누어 주는것을 지원합니다.
58.
Our goal is to cover the basics of Ubuntu (such as installation and working with the desktop) as well as hardware and software management, working with the command line, and security. We designed this guide to be simple to follow, with step-by-step instructions and plenty of screenshots, allowing you to discover the potential of your new Ubuntu system.
2014-08-29
우리의 목표는 (설치와 데스크탑으로 사용하는 것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관리, 커맨드 라인으로 사용, 보안등 유분투의 기초를 다룹니다. 우리는 단계적인 지침과 매우 많은 그림이 당신이 새로운 우분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것입니다.
61.
For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any aspect of the Ubuntu desktop, see the ``Ubuntu Desktop Guide,'' which can be obtained in any of the following ways:
2014-08-30
우분투 데스크탑과 관련한 좀더 상세한 정보를 위해서는 "우분투 데스크탑 가이드" 을 보시기 바랍니다. 그것은 다음의 것들을 얻을 수 있습니다.
62.
in the Dash, type \userinput{help}.
2014-08-29
데쉬에 \userinput{help} 라고 입력.
66.
If something isn't covered in this manual, chances are you will find the information you are looking for in one of those locations. We will try our best to include links to more detailed help wherever we can.
2014-08-30
이 메뉴얼에 없다면, 다음의 위치에서 당신이 찾고자 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여 당신이 정보를 찾아 갈 수 있도록 도울 것입니다.
67.
Ubuntu Philosophy
2014-08-30
우분투 철학
72.
Ubuntu Promise
2014-08-30
우분투의 약속
76.
Ubuntu's core applications are all free and open source. We want you to use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improve it, and pass it on.
2014-08-30
우분투의 핵심 프로그램들은 모두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며 오픈소스 입니다. 우리는 당신이 자유롭게 오픈소스를 사용하며 그것을 개선하고 전달이 되기를 바랍니다.
82.
With more people working on the project than ever before, its core features and hardware support continue to improve, and Ubuntu has gained the attention of large organizations worldwide.
2014-08-30
이전보다 많은 사람들과 함께 우분투 프로젝트를 하고 있으며, 핵심 기능과 하드웨어 지원도 향상되고 있습니다. 이제 우분투는 전세계에서 가장 주목을 받는 조직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87.
The Linux \Index{kernel} is the controller of the operating system; it is responsible for allocating memory and processor time. It can also be thought of as the program which manages any and all applications on the computer itself.
2014-08-30
리눅스 \Index{kernel}는 운영체제의 제어부입니다. 메모리 할당, 프로세스 스케줄링의 역할을 합니다. 컴퓨터내의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프로그램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93.
Before you decide whether or not Ubuntu is right for you, we suggest giving yourself some time to grow accustomed to the way things are done in Ubuntu. You should expect to find that some things are different from what you are used to. We also suggest taking the following into account:
2014-08-31
당신에게 우분투가 적당한지 결정하기 이전에, 우리는 당신이 우분투를 사용하는 것에 익숙해지는데 스스로 시간을 가지는 것을 제안합니다. 당신은 이전에 익숙했던 것과 다른 것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그러한 것들을 확인할 것을 제안합니다.
94.
Ubuntu is community based.
2014-08-30
우분투는 커뮤니티 기반입니다.
99.
Many people have contributed their time to this project. If you notice any errors or think we have left something out, feel free to contact us. We do everything we can to make sure that this manual is up to date, informative, and professional. Our contact details are as follows:
2014-09-05
많은 사람들이 우분투 프로젝트를 위하여 그들의 시간을 기여해 오고 있습니다. 당신이 어떤 에러나, 우리가 생각하지 못한 것을 생각한다면, 자유롭게 저희에게 연락해 주십시오. 우리는 우분투 메뉴얼이 최신이고, 유용하며, 전문적인 내용을 담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것입니다. 연락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103.
Bug Reports: \url{https://bugs.launchpad.net/ubuntu-manual/+filebug}
2014-08-31
버그 리포트: \url{https://bugs.launchpad.net/ubuntu-manual/+filebug}
104.
Mailing list: \href{mailto:ubuntu-manual@lists.launchpad.net}{ubuntu-manual@lists.launchpad.net}
2014-08-31
메일링 리스트: \href{mailto:ubuntu-manual@lists.launchpad.net}{ubuntu-manual@lists.launchpad.net}
107.
Want to help?
2014-08-31
도움이 필요하십니까?
108.
We are always looking for talented people to work with, and due to the size of the project we are fortunate to be able to cater to a wide range of skill sets:
2014-08-31
우리는 항상 함께 할 수 있는 재능 있는 사람들을 찾고 있으며, 프로젝트의 크기에 따라서 우리는 다양하게 구비된 기술을 제공할 수 있어서 다행입니다.
109.
Authors and editors
2014-08-31
저자들과 편집자들
110.
Programmers (Python or \TeX)
2014-08-31
프로그래머들 (Python or \TeX)
111.
User interface designers
2014-09-05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