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ions by MinSik CHO

MinSik CHO has submitted the following strings to this translation. Contributions are visually coded: currently used translations, unreviewed suggestions, rejected suggestions.

111 of 11 results
1.
name={Access Point}, description={A device that allows for a wireless connection to a local network using Wi-Fi, Bluetooth, etc.}
2014-02-11
name={액세스 포인트 (AP)}, description={Wi-Fi,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장치}
2.
name={applet}, description={A small program that runs in a \gls{panel}. Applets provide useful functions such as starting a program, viewing the time, or accessing the main menu of an application.}
2014-02-11
name={애플릿}, description={ \gls{패널}에서 실행하는 작은 프로그램. 애플릿은 프로그램 시작, 시간 보기,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접근 등의 유용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곳입니다.}
3.
name={Canonical}, description={Canonical, the financial backer of Ubuntu, provides support for the core Ubuntu system. It has over 500 staff members worldwide who ensure that the foundation of the operating system is stable, as well as checking all the work submitted by volunteer contributors. To learn more about Canonical, go to \url{http://www.canonical.com}.}
2014-02-13
name={캐노니컬}, description={캐노니컬은 우분투의 재정적인 지원을 하며, 우분투 시스템에 대한 지원을 하는 회사입니다. 전세계에 우분투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증하고 자원봉사자들의 기여를 체크하는 500명 이상의 사원이 있습니다. 캐노니컬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려면, \url{http://www.canonical.com} 에 방문하세요.}
4.
name={\acronym{CLI}}, description={\acronym{CLI} or command-line interface is another name for the \gls{terminal}.}
2014-02-20
name={\acronym{CLI}}, description={\acronym{CLI}, 또는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는 \gls{터미널}의 다른 이름입니다.}
5.
name={desktop environment}, description={A generic term to describe a \acronym{GUI} interface for humans to interact with computers. There are many desktop environments such as \acronym{GNOME}, \acronym{KDE}, \acronym{XFCE} and \acronym{LXDE}, to name a few.}
2014-02-20
name={데스크톱 환경}, description={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 접하는 \acronym{GUI} 인터페이스를 부르는 용어입니다. 몇가지를 이야기하자면, \acronym{GNOME}, \acronym{KDE}, \acronym{XFCE}, \acronym{LXDE} 가 있습니다.
7.
name={dialup connection}, description={A dialup connection is when your computer uses a modem to connect to an \gls{ISP} through your telephone line.}
2014-02-24
name={다이얼업 연결}, description={다이얼업 연결은 \gls{ISP}에 모뎀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것을 뜻합니다.}
8.
name={distribution}, description={A distribution is a collection of software that is already compiled and configured ready to be installed. Ubuntu is an example of a distribution.}
2014-02-24
name={배포판}, description={배포판은 여러가지 소프트웨어가 미리 컴파일 및 설정되어 바로 설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음입니다. 우분투가 이러한 배포판의 예입니다.}
9.
name={dual-booting}, description={Dual-booting is the process of being able to choose one of two different operating systems currently installed on a computer from the boot menu. Once selected, your computer will boot into whichever operating system you chose at the boot menu. The term dual-booting is often used generically, and may refer to booting among more than two operating systems.}
2014-02-24
name={듀얼부팅}, description={듀얼부팅은 부팅 메뉴에서 설치된 하나 이상의 운영체제 중 선택하여 부팅할 수 있는 상태를 뜻합니다. 컴퓨터는 부팅 메뉴에서 선택한 운영체제로 연결될 것입니다. 세 개 이상의 운영체제를 사용할 때도 주로 듀얼부팅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10.
name={encryption}, description={Encryption is a security measure, it prevents others from accessing and viewing the contents of your files and/or hard drives, the files must first be decrypted with your password.}
2014-02-24
name={암호화}, description={암호화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파일이나 하드 드라이브를 보지 못하도록 하는 보안 방법입니다. 암호화된 파일을 보기 위해서는 설정한 열쇠글을 이용해 해독해야 합니다.}
11.
name={Ethernet port}, description={An Ethernet port is what an Ethernet cable is plugged into when you are using a \gls{wired connection}.}
2014-02-24
name={이더넷 포트}, description={이더넷 포트는 이더넷 케이블을 연결하여 \gls{유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는 포트입니다.}
12.
name={\acronym{GNOME}}, description={\acronym{GNOME} (which once stood for \emph{\acronym{GNU} Network Object Model Environment}) is a popular desktop environment and was former the default desktop environment used in Ubuntu.}
2014-02-24
name={\acronym{GNOME}}, description=\acronym{GNOME} (\emph{\acronym{GNU} Network Object Model Environment}의 줄임말}은 유명한 데스크톱 환경으로, 이전까지 우분투의 기본 데스크톱 환경이었습니다.}